순환형 플라스틱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, PCR(Post-Consumer Recycled)과 PIR(Post-Industrial Recycled) 소재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
PCR은 소비자 사용 후 폐기물에서 나오며, 높은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품질과 오염 문제에서 도전 과제를 가짐
PIR은 산업 스크랩에서 재활용되며, 품질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이 높아 초기 적용에 적합함
PET는 플라스틱 병 등에 사용되며,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 규제에서 가장 먼저 적용 대상이 됨
PE는 포장재, 필름, 용기 등에 널리 사용되며, 전 세계 재활용 규제의 큰 영향을 받음
글로벌 트렌드는 재활용 원료 목표에 대한 규제 강화, 각 브랜드는 재생 활용 목표 설정 및 방안 준비 필수
유럽 (Europe)
• PET 병: 2025년까지 25% PCR 의무화 → 2030년까지 30%로 확대
• PPWR 규제: 2026년까지 모든 포장재에 PCR 사용 확대 적용
• 신규 PFAS 화학물질 규제 및 “그린” 용어 오남용 금지 → PE 식품 포장재에 영향
미국 (USA)
• 캘리포니아 AB 793: 2025년까지 25% PCR 의무화 → 2030년까지 50%로 상향
• 뉴저지, 워싱턴 등 타 주에서도 점진적으로 PCR 비율 상향 추진
• EPR 법: 2032년까지 65% 재활용률 달성 목표
대한민국 (South Korea)
• 2026년부터 PET 음료병에 10% PCR 의무 적용 → 2030년까지 30%로 확대 예정
• 규제 확대 예상: PE 필름, 화장품, 자동차, 전자제품 부문까지 확대 가능성
• 재활용 원료 함량 표시 의무 및 재활용성 기준 강화 예상
2차전지 폐분리막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고성능 소재. 공급 제품의 Melt Index(MI)는 0.6으로 안정적인 가공성과 균일한 물성 구현이 가능
표준화된 비중(1.195 g/cm³)과 우수한 인장강도(362 kgf/cm²)를 확보함으로써 일반 재생 HDPE 대비 뛰어난 내구성과 구조적 신뢰성을 보여줌
신장율 185%로 적정한 연성과 탄성을 보유하여 다양한 산업용 몰딩 및 압출 공정에 적합
폐분리막 재활용 공정의 고도화로 불순물 함유율이 낮고 물성이 균일하도록 관리되어,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차별화된 재생원료
rHDPE (SH-3200)
농업용 비닐 등 반투명 원료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고품질 재생원료로 MI 2.0의 안정적인 물성을 구현
우수한 신장율(734%)과 적정 인장강도(287 kgf/cm²)를 확보하여 뛰어난 유연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며, 정밀한 공정 관리로 표준화된 비중(0.966 g/cm³)을 유지
높은 신장율로 인해 가공 시 우수한 흐름성과 생산성을 보장하며, 다양한 컬러로 공급되어 폭넓은 응용 분야에 적합
고품질 재생원료의 활용을 통해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가치를 동시에 실현 가능
rLLDPE (SL-9250)
rLLDPE (SL-9450)
rLLDPE (SL-9200)
위 제품들의 특성값은 신재(버진) 원료와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가격은 70~90%에 형성되어 있음
물성값을 크게 중요하게 보지 않는 제품에는 다른 선택사항으로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부분이 있음
문의 시 적정 제품을 고려하여 원가상승 없는 재생원료 선택 가능
rHDPE (SH-2250)
rHDPE (SH-2850)
rHDPE (SH-2750)
rLLDPE (SL-8650)
rLLDPE (SL-8200)
rLLDPE (SL-8550)
*** 이미지의 색상은 실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